대한민국 유네스코 개요
Ⅰ. 유네스코 일반
1. 명 칭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UN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 연혁 및 당사국 현황
- 1946.11월 ″유네스코헌장″이 발효함으로써 설립(소재지 : 프랑스 파리)
- 회원국 : 193개국 (준회원국 : 6개국)
3. 목 적
- 정의, 법의 지배, 인권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보편적 존중을 고양
- 교육, 과학, 문화를 통하여 제국민간의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세계평화의 발전에 기여
4. 조 직
- 총회(General Conference),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사무국(Secretariat)으로 구성
- 사무총장 (Director-General) : Mr. Matsuura Koichiro (1999-2005, 2005-2009 재임)
집행이사회 구성 및 기능
- 구성 : 58개국으로 구성, 2년 회기중 5회 개최
- 기능 : 유네스코 사업수행 감독, 총회 의제 준비, 총회 위임사항 심의.결정 등
5. 예산(2006-2007년, 회계년도)
정규예산 : 6억 1천만불 — 회원국 분담금으로 충당 (*자발적 분담금 및 신탁기금 등 비정규 예산도 있음)
Ⅱ 유네스코 총회 개요
1. 총회 기능
- 기구의 일반정책 및 주요 주제에 관하여 심의
- 향후 2년간 기구 사업 및 예산 채택
- 집행이사회, 정부간위원회, 사무총장 선출
2. 회의 구성
가. 본회의(Plenary)
- 기조연설
- 집행이사회 및 정부간위원회 선거
- 기구관련 결정 채택
나. 사업위원회(Programme Commissions Ⅰ–Ⅴ)
- 구 성 : 전체 회원국
- 기 능
- 결정권한 없음
- 관련 사업에 대한 사무총장 보고서 심의
- 향후 예산 및 사업 심의
- 이와 관련, 총회에 권고
- Ⅰ 분과위원회 : 기구 진행
- Ⅱ 분과위원회 : 교육
- Ⅲ 분과위원회 :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
- Ⅳ 분과위원회 : 문화 및 통신
- Ⅴ 분과위원회 : 통합사업
다. 신임장위원회(Credential Committee)
- 개최 직후 임시의장 주재하에 선출되는 9명으로 구성
- 총회대표 자격 심사
라. 지명위원회(Nomination Committee)
- 전체회원국 수석대표로 구성
- 각종 선거후보자 조정, 총회에 건의
- 총회 의장(1), 부의장(6), 산하위원회 의장단, 집행이사회 및 정부간위원회
마. 법률위원회(Legal Committee)
- 전차 총회에서 선출된 21명으로 구성
- 유네스코 헌장 및 의사규칙 개정문제
바. 행정위원회(Administrative Commission)
- 기구행정, 재정, 직원문제
Ⅲ 한 ․ 유네스코 관계
1. 연 혁
- 1950.6.14 가입
- 1978.7월 겸임 상주 대표부 설치
- 1988.4월 독립 상주 대표부 설치
- 1999.4월 주불대사관과 통합
- 조일환 대사(06.12월 부임)
2. 유네스코내 활동 현황
가. 집행이사국
- 집행이사회 이사국 4선 연임(1987-2003년간)
나. 유네스코 협약관련 정부간 위원회
- 세계유산위원회(WHC)위원국 : 2005-2009
다. 총회 위원회
- 법률 위원회 : 33차 총회시 선출되어 34차 총회까지 활동
- 일반 위원회 : 33차 총회시 활동
- 제33차 총회 부의장국으로 선출됨에 따라 의장, 부의장, 총회 각 위원회 의장으로 구성되는 일반위원회에 자동 진출
라. 총회 산하 정부간위원회
- 인간과 생물권사업 국제조정위원회(MAB) : 2003-2007
- 정부간 생명윤리 위원회(IGBC) : 2003-2007
- 불법소유문화재 반환촉진 정부간 위원회(ICPRCP) : 2005-2009
- 국제 교육국 위원회(IBE) : 2005-2009
마. 기타
- 국제해양학위원회(IOC) : 2007-2009
3. 우리 정부 제정 유네스코 상
- 세종대왕 문해상 : 1989년 제정, 매년 4만불 시상
- 아리랑상 : 2000년 제정, 매2년 6만불 시상
- 직지상 : 2004년 제정, 매2년 3만불 시상
4. 사무국 한국인 직원 현황
- 정규직 : 총 6명
- P5 1명, P3 1명, P2 4명
- 계약직 : 1명
- 파견 공무원 : 6명
- ALD 3명, Associate experts 2명, 직무파견 1명
5. 유네스코 지정 우리나라 유산 현황
세계유산(8건)
- 석굴암 및 불국사(1995)
- 해인사 장경판전(1995)
- 종묘(1995)
- 창덕궁(1007)
- 수원 화성(1997)
- 경주 역사지구(2000)
- 고창 ․ 화순 ․ 강화 고인돌 유적(2000)
- 제주도 화산섬 및 용암동굴(2007)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3건)
- 종묘 제례악(2001)
- 판소리(2003)
- 강릉 단오제(2005)
기록유산(6건)
- 훈민정음(1997)
- 조선왕조실록(1997)
- 직지심체요절(2001)
- 승정원일기(2001)
- 조성왕조의궤(2007)
-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생물권 보전지역(2건)
- 설악산(1982)
- 제주도 한라산(2002)
출처: 대한민국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