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하면서 기억해야 할 5가지

주식을 하다 보면 단기에 큰돈을 버는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그럴 땐 부럽기도 하고 나도 그 물결을 따라가고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그럴 때마다 주식 투자는 단기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꾸준히 좋은 습관을 갖고 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종종 기본 원리를 벗어나고 싶을 때 떠올려야 할 5가지를 살펴봅니다.

* 투자에 따른 수익 또는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1. 장기투자로 세금을 최대한 줄여라.

세금 혜택이 있는 투자 상품을 이용하고 장기투자로 세금을 최대한 줄여라. 

미국은 대표적으로 401k (연방 공무원은 TSP)와 IRA가 있다. 401k는 일 년에 $19,500, IRA는 $6,000까지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50세 이상부터는 각각 $6,500/$1,000씩 더 넣을 수 있다). 둘 다 은퇴 투자이기 때문에 만 59½세가 됐을 때 인출할 수 있다. 만 60세는 먼 미래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60세는 보통 자녀가 20-30대가 되어 있을 나이고, 여전히 돈이 많이 필요할 나이다. 그때를 위해 투자하라.

은퇴 연금 상품에 최대치를 넣고 있거나, 은퇴 전에 인출 가능한 자금을 만들고 싶다면 일반 주식 거래 어카운트를 만들어라. 일반 주식 어카운트는 보통 일 년 이상 주식을 갖고 있으면 세금 혜택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일 년 수입에 따라 투자 수익에 대한 세율이 달라지는데, 일 년 이상 보유한 주식의 수익의 세율 최대치는 20%인데 비해 일 년 미만 소유한 주식의 수익에 대한 세율은 37%다.

2. 주식은 시간이 지나면 오른다

주가는 매일 오르락내리락 하지만 길게 보면 오르게 되어있다. 그 예로 다음 두 개의 글에 소개된 우량 주식/ETF들을 들 수 있다: 

위 두 개의 글을 보면, 지난 5년 동안 가장 성장률이 낮은 주식도 일 년 평균 8.94% 수익으로 (높아도 1%가 채 되지 않는) 요즘 미국 은행이자보다 훨씬 좋은 수익을 올렸다. 좋은 주식은 사서 가만히 놔두면 오르고, 오래 가지고 있으면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무슨 주식을 사야 할지 모르겠다면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사면 된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겠다면 SPDR S&P 500 ETF (SPY)를 매달 꾸준히 사라.

3. 오래 가지고 있을 주식이라면 배당금이나 받아볼까

주식은 시간이 지나면 오르고, 오래 가지고 있으면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단점은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내 자산은 늘어나도 팔기 전에는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안 생긴다는 것이다. 배당주는 주식의 이 단점을 보완해준다. 배당주들은 분기(3개월), 혹은 매월 배당금을 지급한다. 이 배당금은 그냥 써도 좋고 여유가 있다면 배당금으로 주식을 더 사도 된다.

무슨 배당주를 살 지 모르겠다면 다음 글들을 참고해봐도 좋다:

4. 배당금이 없는 주식이면 옵션으로 돈을 벌 수 있다

주식은 시간이 지나면 오르고, 오래 가지고 있으면 세금 혜택도 받고, 배당주를 사면 주식을 팔지 않아도 배당금으로 수중에 돈이 들어온다. 하지만 배당주가 아닌 주식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기도 한다. 이 글이 작성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테슬라와 엔비디아는 배당금은 지급하지 않지만 둘 다 지난 5년 각각 1,200%와 1,400%를 넘는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다. 

배당주가 아닌 주식을 갖고 있다면 커버드콜 전략 (covered call)으로 주식을 팔지 않고도 배당금처럼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여기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진 않겠지만 커버드콜 전략이란 예를 들어 내가 가진 주식의 가격이 지금 $10라면 다음 달에 내 주식을 $20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누군가에게 돈을 주고 파는 것이다. 이처럼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는 주식 100개 단위로 진행되고, 주식마다 매주, 혹은 매 달 판매가 가능하다.

5. 안전하지 않은 주식 시장에서 안전한 주식들

주가는 오르락내리락한다. 하지만 대게 장기적으로 보면 상승한다. 그러면 어떤 주식이 안전할까? 오래되고 기업가치가 높은, 없어질 염려가 거의 없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비교적 안전하다.

아래 글들을 참고해보면 좋다:

Similar Pos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