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주(Texas)에 관한 거의 모든 것

미국 남부 멕시코만에 면하여 있는 주.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주이며, 석유ㆍ목화ㆍ가죽 따위의 생산으로 유명하다. 제유ㆍ석유 화학 공업도 발달하였다. 주도(state capital)는 오스틴, 면적은 69만 1030㎢.

‘텍사스주’는 예전에는 ‘텍사스 주’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지금은 붙여 쓴다. 이는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쓴다는 규정[구 외래어 표기법(2014년 고시) 제4장 제3절 제1항]이 2017년에 폐지됨에 따른 것이다.


텍사스 주요 도시

댈러스(Dallas)

텍사스주 동북부 트리니티강 연변에 위치한 상공업 도시. 중부 내륙 유전의 중심지로 전자, 석유 화학 공업이 활발하며, 목화의 집산지이다. 케네디가 암살된 곳이다.

샌안토니오(San Antonio)

텍사스주 중남부에 있는 도시. 농산물ㆍ가축ㆍ양모의 집산지이며, 제철ㆍ정유 공업이 발달하였다. 육군 기지가 있으며, 텍사스 독립 전쟁 당시의 알라모(Alamo) 요새의 유적이 남아 있다.

엘패소(El Paso)

텍사스주 서북쪽 끝에 있는 상업 도시. 멕시코와의 국경인 리오그란데강 북쪽 기슭에 있는 교통의 요충지로 멕시코 사람이 많이 살며 금속, 섬유, 식품 가공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오스틴(Austin)

상공업 도시. 행정ㆍ상공업ㆍ교육의 중심지이며 텍사스주의 주도(state capital)이다.

코퍼스크리스티(Corpus Christi)

텍사스주, 멕시코만 서쪽 기슭에 있는 항구 도시. 목화, 석유, 수산물 따위를 수출하며 정유 공업이 발달하였다.

패서디나(Pasadena)

텍사스주 동남부, 휴스턴시에 있는 도시. 주택 지역이며, 석유 화학 콤비나트의 중심지이다.

포트아더(Port Arthur)

텍사스주 남쪽 기슭에 있는 항구 도시. 정유(oil refining)의 중심지로 석유ㆍ목화ㆍ쌀 따위를 실어 내며, 조선ㆍ철도ㆍ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포트워스(Fort Worth)

텍사스주 북쪽에 있는 도시. 교통 요충지로 가축ㆍ농산물 따위를 집산하며, 제분ㆍ정유 공업이 발달하였다.

휴스턴(Houston)

텍사스주 동남쪽에 있는 항구 도시. 20세기 초 유전(oilfield)이 개발된 이래 발전하였으며, 세계 최대의 정유 공업 지대의 하나이다. 석유, 목화, 쌀 따위를 실어 내는 항구이며, 문화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부근에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를 보낸 유인 우주 센터가 있다.


텍사스 관광ㆍ자연 명소

아스트로 돔(Houston Astrodome)

1965년 휴스턴에 건설된 세계 최초 돔구장.

멕시코 만안 유전(Gulf of Mexico oil fields)

미국의 남부 텍사스주와 루이지애나주의 멕시코 연안에 있는 대유전 지대. 1901년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석유 관련 산업이 번창하면서 휴스턴 등의 많은 도시가 발전하였다.

면화지대/목화지대/코튼벨트(Cotton Belt)

목화가 많이 재배되는 지역. 미국 남부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미시시피강 하류와 텍사스주, 오클라호마주에 집중되어 있다.

알라모(Alamo)

18세기에 미국 남부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설립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예배당. 1830년 중반 텍사스 독립 전쟁 때 의용병이 거점으로 삼고 멕시코군과 싸워 전멸한 곳이다.

존슨 우주 센터(Johnson Space Center)

미국 항공 우주국의 유인 우주 비행의 관제(管制)를 담당하는 기지. 미국의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다. 원래 이름은 엠에스시(MSC), 유인 우주 센터(Manned Spacecraft Center)였다.

텍사스유전(Permian Basin)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유전. 1901년에 멕시코만 기슭, 보몬트 부근에서 발견한 이래 미국 최대의 유전으로 발전하였다.

프레리(Prairie)

캐나다 중남부에서 미국 텍사스주에 걸쳐 있는 초원. 옥수수, 밀, 목화 따위가 난다.

Similar Pos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