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가족부터 만족시켜라"

어제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선물을 하는 ‘화이트데이’였다고 한다. ’ 십이야’라는 홍콩 영화는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이다. 남자는 심야에 일을 하면서도 여자를 보고 싶어 한다. 그래서 몇 번이나 ”보고 싶다”라고 전화를 하고 새벽에 여자 집으로 차를 몰지만 타이어가 펑크 난다. 결국 아침이 다 돼서야 여자집에 도착해 겨우 얼굴을 보게 된다.

몇 개월 뒤 이제는 새벽에 여자가 남자에게 “아직도 일하는 중이냐”라고 계속 전화를 걸어댄다. 남자는 여자의 지나친 관심에 오히려 피곤해하면서 부담을 느낀다. 당연히 두 사람의 관계는 엉망이 된다. 누구나 한 번은 겪었을 것 같은 이야기 아닌가.

처녀들에게 인기 있는 신랑감 후보는 아마도 능력 있는 남자일 것이다. 그러나 결혼 후 남편이 일에 미치면 아내는 이렇게 묻는다. “자기는 일이 좋아, 내가 좋아? 그렇게 일이 좋으면 일하고 결혼하지 왜 나하고 결혼했어?” 남편이 책을 읽을 때 “책이 좋아, 내가 좋아”라고 묻기도 한다.

아내가 진정 바라는 것은 남편과 함께 하는 시간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아내는 남편이 자기를 사랑한다는 확신만 있다면 지옥불이라도 참아낼 것이다. 그래서 아내는 수없이 “자기, 나 사랑해?”라고 묻는다. 사랑의 증거를 찾기 위해서이다. 그 증거만 확고하게 제공된다면 아내는 남편을 자유롭게 놓아둘 수 있다. 그렇지 않기 때문에 물리적으로라도 시간을 함께 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돈이 좋다’의 저자 오숙희 씨가 여성들이 받고 싶은 선물 목록을 적어보게 했더니 ‘향수, 꽃, 립스틱, 부부커피잔세트, 식기세척기, TV’라고 한다.

최근에 어느 60대의 경영자와 저녁을 함께 한 뒤 꽃집에 갔다. 꽃을 좀 사서 사모님에게 갖다 드리라고 했더니 “평생 그런 일은 해본 적이 없어 쑥스럽다”라고 하시며 거절하셨다. 그때 나는 이렇게 말했다.

“경영자에게 아내는 가장 가까운 고객입니다. 그 고객이 가장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으면서 어떻게 다른 고객을 감동시킨다는 말입니까?” 그다음 날 그 사모님은 온 주변 사람들에게 전화를 해 남편이 결혼생활 40여 년 만에 처음으로 꽃을 사다 주었다는 사실을 자랑했다고 한다.

아내는 자신이 이 세상 어떤 여자보다도 더 큰 사랑을 받고 있다는 확신만 가지면 무엇이든 참아낸다. 작은 꽃, 전화 한 통, 손수건 하나, 카드 한 장, 향수 한병 … 이런 것이 아내를 기쁘게 하는 이유는 남편이 그것을 사려고 시간을 내고, 아내를 생각하고 있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가장 가까운 고객인 가족부터 만족시켜라. 그래야 마음 놓고 일에 미칠 수 있다.


이 글은 2001-03-14, 언론매체 《동아일보》에 실린 세이노(sayno@korea.com)의 글입니다. 무료 사용 허가 기준에 따라 게재되었습니다:

언론에 실려 공개된 글이라고 할지라도 저작권법에 따라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 “언론에 실린 글”에 한하여 제 글이 실린 언론매체와 날짜, 그리고 저의 필명과 sayno@korea.com이라는 이메일 주소를 수록한다면 누구나 무료로 사용을 허가합니다.

세이노의 가르침』 (데이원, 1쇄 2023년 3월 2일) p. 655

Similar Pos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