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등재 현황

무형유산 개요

명칭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

유산의 범주

전통 생활관습

지리적 범위

대한민국 전체 및 해외교포 거주지역

신청서 주요내용

  •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음식의 기본양념인 장을 만들고, 관리, 이용하는 과정의 지식과 신념, 기술을 모두 포함함.
  • 장은 한국인의 일상음식에 큰 비중을 차지해왔으며, 그 개별성으로 인해 한 집안의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기도 함.
  • 가족을 기반으로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진 장 담그기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여 만들고 나누어 먹으면서 집안의 음식 맛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기능을 함.
  • 장 담그기 문화의 등재는 보편적이어서 오히려 간과될 수 있는 생활관습 분야의 무형유산이 지닌 사회적, 공동체적, 문화적 기능과 그 중요성을 환기하고 더 나아가 무형유산 전반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추진현황

  • (‘19년) 문화재위원회(세계유산분과) 심의 결과 등재신청대상 선정
  • (‘22년) 등재신청서 및 관련자료(영상 등) 유네스코 제출
  • (‘23년) 등재신청서 수정사항(업데이트) 및 추가자료 제출
  • (‘24년) 유네스코 심사 진행, 결과 발표(11.5.)
  • (‘2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결정(12.3.)

출처: 대한민국 외교부

Similar Pos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