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환영합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인간과 자연이 만들어 낸 걸작,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나,…
오랜 세월에 걸쳐 인간과 자연이 만들어 낸 걸작,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나,…
연번 유산명칭 등재일 비고 1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2001.5.18. 2 판소리 2003.11.7. 3 강릉단오제 2005.11.25. 4…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 정부간위원회는, 1. 대한민국이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위해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No.01975) 등재신청을 인지한다: 장은 된장, 간장, 고추장과 같은 발효…
무형유산 개요 명칭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 유산의 범주…
유네스코, “공동체의 평화와 소속감 조성하고, 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 평가 12월 3일 오후(현지 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개최된 제1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12.2.~12.7.)는…
우리나라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부를 심사․결정하는 2013년 세계기록유산회의를 유치하게 되었다(외교통상부, 문화재청 공동 주관 예정). ㅇ 영국 맨체스터 개최,…
1. 근거 1995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기록유산보호 일반지침 (General Guideline to Safeguard Documentary Heritage)” 2. 정의 전세계 민족의 기록된 집단 기록이자 인류의…
구분 세계유산 (유형유산) 무형유산 대표목록 세계기록유산 근거 세계유산협약 (1972) 무형유산보호협약 (2003) 기록유산보호일반지침 (1995) 시작년도 1972 1999– 1999~2007 까지는 ‘인류구전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 2008년 이후 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통합 1992 대상 문화, 자연, 복합유산 관습, 표현, 기술, 공예품 등 무형유산 인쇄물, 도서 등 각종 기록물 우리 등재 유산…
유네스코는 현지시간 5.25(수), ‘일성록’과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되었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동 발표는 제10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IAC, International Advisory…
1. 명칭 ㅇ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 설치 근거 ㅇ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